직장 내 부고장과 조문 답례글의 작성 > 유익한 정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고객센터
유익한 정보

직장 내 부고장과 조문 답례글의 작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6-27 14:43 조회472회 댓글0건

본문

http://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7852425&memberNo=29951711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사내에서 기분 좋은 소식을 전해 들을 때도 있지만, 반대로 안타까운 소식들을 마주하게 되는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부고'입니다.

부고(訃告)라고 하는 것은 '사람의 사망 소식을 알리는 것, 혹은 그런 글'을 뜻하는 것인데, 직장생활을 하게 되면 부고장이라고 하여 부고 사실을 알리기 위한 일종의 알림장을 보게 되는 일이 생길 것입니다.

기업마다 조직문화에 따라서, 혹은 조직원들간의 친밀도에 따라서 부고를 대하는 태도는 다르겠지만, 직계가족의 부고에 대해서는 회사 차원에서 부고장을 올리고, 부조와 근조화환을 보내 애도를 표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물론, 상이 발생했을 경우 직접 연락을 통해서 알려지기도 하겠지만 부고장을 통해 사내의 전 직원들에게 부고 사실을 알릴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고인의 죽음에 애도를 표하고 슬픈 소식을 나눈다는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 부조 : 경사 혹은 조사에 금전 혹은 그에 해당하는 물건을 보내어 도와줌
※ 근조화환 : 고인에 대한 애도를 표하기 위해 생화 혹은 조화를 모아 만든 물건


 


부고장의 작성

 

부고장을 작성하는 이유는 부고 사실을 통보하고 장례에 대한 정보를 조직원들에게 알리기 위함입니다.

부고를 전하는 의미인 만큼 부고장을 작성할 때에는 밝은 톤의 색채를 넣는다거나 화려한 장식을 하는 등의 꾸미는 행위는 삼가야 하며, 어두운색의 글자로 부고인은 누구인지, 어떤 직원과 관련이 있는지, 빈소는 어디인지에 대한 정보만 담아주시면 됩니다.

 


-부고장 구성항목

 

· 부고와 관계되는 사원의 성명
· 고인과의 관계
· 사망일
· 빈소(위치)
· 발인일
· 부고장 작성일

77b1488cf3d2bd519aba39f0013ad236_1498542

 

부의 봉투


부고장을 확인한 직원들은 개별적으로 혹은 팀별로 장례식장을 방문하게 됩니다. 장례식장에 가게 되면 고인에 대한 애도의 뜻을 담아 부조를 하게 되는데 부조는 부의 봉투에 담아서 내게 됩니다.
 
부의 봉투는 보통은 장례식장의 데스크나 중간중간에 비치되어 있는데 이것을 이용하시면 되고, 만약 구하지 못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규격 봉투의 앞면에 賦儀(부의)라고 적은 뒤 뒷면에는 좌측 하단에 본인의 소속과 성명을 우에서 좌로 세로 작성을 하시면 됩니다. 

77b1488cf3d2bd519aba39f0013ad236_1498542 

 


보통, 부조금은 3, 5, 7만 원과 같은 홀수 단위로 하거나 10, 20, 50, 100만 원과 같은 10만 원단위로 이루어집니다.
 
꼭 부의라고 기재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표현도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부의 혹은 근조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부의 賻儀 : 상가에 부조로 보내는 돈 또는 물품
 근조 謹弔 : 사람의 죽음에 대하여 삼가 슬픈 마음
 추모 追慕 : 죽은 사람을 그리며 생각
 조의 弔意 : 죽은 사람을 슬퍼하는 마음
 추도 追悼 : 죽은 사람을 생각하여 슬퍼하다
 애도 哀悼 :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다
 위령 慰靈 :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다

 


 부의 봉투는 빈소 안 혹은 입구에 마련되어 있는 부의함에 넣어 주시면 됩니다.

 

 

 

상주에게 건네는 위로의 말

 


빈소에서 고인에 대한 예가 끝나면 상주와 맞절을 한 뒤 문상객은 상주에게 위로의 말을, 상주는 문상객에 감사의 말을 서로 간단하게 주고받는데, 이때도 본인과 고인, 혹은 상주와의 관계나 친밀도 등을 고려하여 위로의 말을 건네거나 혹은 오히려 말을 아끼는 것이 더욱 진심으로 조의를 표하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특히, 고인의 임종과정이나 생전의 지병 혹은 생활들을 계속해서 묻는 것은 예의에 굉장히 어긋나는 일입니다.
 
위로의 뜻으로 자주 건네는 말로는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있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상고를 당하셔서 얼마나 상심이 크십니까.”
“뭐라고 위로의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뜻밖의 비보에 뭐라 말씀 여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삼가 조의를 표하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장례 후 답례문의 작성

 

요즘은 보통 3일장으로 장례는 치르는 경우가 많은데 문상객을 받는 날은 첫째 날과 둘째 날까지 2일 정도이고, 이 기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오가기 때문에 상주는 모든 문상객들을 하나하나 신경 쓸 겨를이 없습니다. 그렇기에 장례를 다 치른 후 상주는 시간 내어 빈소를 찾아 함께 고인의 명복을 빌어준 이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기도 합니다.
 
보통, 전화나 우편, 이메일, 문자를 통해 개인적으로 연락하는 경우가 많으며, 장례 후 2~3일 정도 이내에 보내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추가적으로 본인이 다니는 회사에는 사내에 조문 답례문을 별도로 게시하여 감사를 표시하기도 합니다. 

 

77b1488cf3d2bd519aba39f0013ad236_1498542


77b1488cf3d2bd519aba39f0013ad236_1498542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장례라는 문화에 대해서 예전과 같은 방식으로 예와 형식을 갖추기보다는 그 과정을 다소 간소화 시키거나 고인이나 유가족들 나름의 방식대로 혹은 상조회사에서 권장하는 방식대로 이루어지는 모습이 자주 보이기도 합니다.

정답은 없겠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형식적인 예의 차림보다는 갑작스럽게 닥친 슬픈 일을 함께 나누어 힘든 시간을 잘 마무리하고, 진심으로 고인에게 애도를 표하는 마음과 이러한 마음에 감사를 보내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유익한 정보 목록

게시물 검색

접속자집계

오늘
18
어제
16
최대
1,002
전체
90,020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